한시
宿府 숙부 - 杜甫(두보)
노년의 인생
2025. 2. 13. 12:54
宿府 숙부 - 杜甫(두보)
숙직을 서는 깊은 밤에
清秋幕府井梧寒(청추막부정오한)
깊은 가을의 봄부 막사는 우물가 오동 잎 소리로 썰렁한데,
獨宿江城蠟炬殘(독숙강성납거잔)
홀로 자는 강가 성곽엔 밀랍 홰만 다 꺼져가네.
永夜角聲悲自語(영야각성비자어)
한밤 내내 들리는 뿔피리 소리는 슬픈 사연을 스스로 말하지만,
中天月色好誰看(중천월색호수간)
허공에 뜬 달빛은 저 아름다움을 누가 보아줄까?
風塵荏苒音書絕(풍진임염음서절)
험난한 세상을 울고 웃으며 살다 보니 집 소식이 감감해져,
關塞蕭條行陸難(관새소조행륙난)
낙엽 진 관문 요새가 적막하기만 하니 고향 길 나서기가 심히 어렵다네.
已忍伶俜十年事(이인령빙십년사)
이미 참고 홀로 살아온 지가 십 년이나 된 일이니,
強移棲息一枝安(강이서식일지안)
억지로 이 자리에 앉혀 좀 살 만하기는 해도.
[출처] 멱라강에 던져 보낸 시 한편 /김근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