結 草 報 恩 結 草 報 恩 (맺을 결, 풀 초, 갚을 보, 은혜 은) 풀을 맺어 은혜를 갚다. 죽어 혼령이 되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 말. 춘추시대 진나라의 위무자(魏武子)에게 젊은 첩이 있었는데 위무자가 병이 들자 본처의 아들 과(顆)를 불러 "네 서모를 내가 죽거들랑 반드시 다른 곳으로 시집.. 고사성어 2013.06.23
汗 牛 充 棟 汗 牛 充 棟 (땀 한, 소우, 찰 충, 용마루 동) 소가 땀을 흘릴 만큼 실은 무게와 용마루에 받힐 만큼 쌓인 양. 책이 매우 많음. 당나라의 명문장가로 알려진 유종원(柳宗元)이 같은 시대의 역사학자 육문통(陸文通)을 위해 쓴 묘표(墓表)에 있는 말이다. 묘표란 죽은 사람의 사적과 덕행을 기.. 고사성어 2013.06.23
庖丁解牛 庖丁解牛 부엌포`사내정`풀해`소우 소를 잡는데 신기에 가까운 기술을 가지고 있어 이 방면에 도통했다고 소문난 이로 제(齊)나라의 백정 도우토(屠牛吐)라는 사람이 있었다. 하루아침에 아홉 마리의 소를 잡아도 칼이 전혀 무뎌지지 않아서 소의 털까지 자를수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고사성어 2013.06.23
能書不擇筆 能書不擇筆 능할 능` 글 서` 아니 불` 가릴 택` 붓 필 뛰어난 서예가는 붓을 가리지 않는다. 좋은 붓이나 종이를 쓰려는 사람은 아직 서예의 뛰어난 경지에 이르지 못했다는 뜻이다. '실력 없는 놈이 연장 탓만 한다. 라고 하는 우리 속담과 일맥상통한다. 당나라 초기의 3대 서예가는 구양.. 고사성어 2013.06.23
螳螂搏蟬 螳螂搏蟬 사마귀 당` 사마귀 랑` 잡을 박` 매미 선 '사마귀가 매미를 잡으려 한다' 라는 말로 이익을 탐내다가 자신의 위험은 돌아보지 못한다는 뜻이다. 장자가 밤나무 밭 근처를 산책하다가 이상한 까치 한 마리가 남쪽에서 날아오는 것을 보았다. 그날개의 넓이는 일곱 자이고 눈 둘레.. 고사성어 2013.06.23
問鼎輕重 問鼎輕重 물을 문` 솥 정` 가벼울 경` 무거울 중 '솥의 크기와 무게를 묻다(問鼎之大小輕重)을 줄인 말로 상대의 실력이나 속마음을 떠보아서 약점을 잡으려는 것인데 원래는 황제의 지위를 엿보기 위한 물음이었다. 춘추시대 때 장왕(莊王)은 오랑캐를 토벌하고 돌아오는 길에 군대를 낙.. 고사성어 2013.06.23
庭訓 庭訓 뜰 정`가르칠 훈 '정원에서 내린 교훈' 즉 가정교육을 뜻한다. 특히 아버지가 아들에게 주는 교훈인데 공자가 아들 백어가 정원을 지날 때 가르침을 베푼 데서 '정훈'이란 말이 생김. 진항이 백어에게 물었다. "당신은 선생님의 아들인데 무슨 별다른 가르침이 있습니까?" 백어가 대답.. 고사성어 2013.06.23
移木之信 移木之信 옮길 이` 나무 목` 갈 지` 믿을 신 '나무 옮기기로 신뢰를 얻는다.' 라는 뜻으로 헛된 소리를 하지 않고 반드시 약속을 지키는 것을 말한다. 전국시대 때 진(秦)나라의 효공(孝公)은 본격적으로 강한 국가를 만들려고 하였다. 당시 재상 상앙은 엄격한 법률을 제정해 강력한 법치주.. 고사성어 2013.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