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부(靜情賦)」
후한(後漢) 채옹(蔡邕, 133~192)
❖-해제
『예문류취(藝文類聚)·인부(人部)』에 「검일부(檢逸賦)」라는
제명으로 일부만이 전한다.
❖- 역주
夫何姝妖之嫒女, 얼마나 아름답고 고운 여인인가,
顔煒燁而含榮. 얼굴이 빛나며 광채를 머금었네.
普天壤其無儷, 온 세상이 상대할 이 없이,
曠千載而特生. 천 년에 걸쳐 유일하게 태어났네.
余心悅於淑麗, 내 마음은 아름다움을 좋아하지만
愛獨結而未並. 사랑을 홀로 맺은 채 함께하지 못하네.
情罔象而無主, 심정이 허망하여 중심이 없으니,
意徙倚而左傾. 의지도 방황하다가 낙심하네.
晝騁情以舒愛, 낮에는 마음을 쏟아 사랑을 펼치고,
夜託夢以交靈. 밤에는 꿈에 의지하여 영혼이 왕래하기를.
출처: 도연명 산문집 김창환 역주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전부(歸田賦)」후한(後漢) 張衡(장형, 78~139) (1) | 2024.08.29 |
---|---|
‘돌아가리라’의 사와 서문「귀거래혜사 병서(歸去來兮辭 幷序)」 (2) | 2024.08.29 |
『』「정정부(定情賦)」후한(後漢) 張衡(장형, 78~139) (0) | 2024.08.29 |
감정을 가라앉히는 부와 서문「한정부병서(閑情賦幷序)」 (6) | 2024.08.28 |
「비사불우부(悲士不遇賦)」 (0) | 2024.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