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暮 途 遠 日 暮 途 遠 (날 일, 저물 모, 길 도, 멀 원) 날은 저물고 길은 멀다. 상황이 너무 늦어 뜻하는 바를 이루기가 힘들다는 뜻. 오자서는 초(楚)나라 사람으로 아버지는 오사이고 형은 오상이다 . 그의 선조 오거는 초장왕(楚莊王)을 섬기면서 직간하는 것으로 명성이 높았으므로 그 후손들은 초.. 고사성어 2013.07.02
一 脚 爲 相 一 脚 爲 相 (한 일, 다리 각, 될 위, 재상 상) 한 쪽 다리로 재상이 되었다는 뜻. 신체가 불우한 사람이 크게 출세한 것. 윤지완(尹趾完)은 파평인으로 호는 동산(東山), 시호는 충정(忠貞)으로 조선 숙종 때 사람이다. 그가 여덟 살 때 다음과 같은 시를 읊으니 듣는 사람마다 칭찬이 자자하.. 고사성어 2013.07.02
人 生 朝 露 人 生 朝 露 (사람 인, 날 생, 아침 조, 이슬 로) 인생은 아침 이슬과 같이 덧없다는 말. 전한 무제 때, 중랑장 소무(蘇武)는 포로 교환차 사절단을 이끌고 흉노의 땅에 들어갔다가 그들의 내란에 말려 잡히고 말았다. 흉노의 우두머리인 선우(單于)는 한사코 항복을 거부하는 소무를 '숫양이.. 고사성어 2013.07.02
二 桃 殺 三 士 二 桃 殺 三 士 (두 이, 복숭아 도, 죽일 살, 석 삼, 무사 사) 두 개의 복숭아로 세 무사를 죽이다. 교묘한 계략으로 상대를 죽이는 것을 비유. 춘추시대 제경공의 신변을 호위하는 장사(將士)가 세 명 있었다. 어느 날 노나라 임금을 초대한 만찬에서 만수금도(萬壽金桃)라는 대접만한 복숭.. 고사성어 2013.07.02
流 芳 百 世 流 芳 百 世 (흐를 유, 향기 방, 일백 백, 대 세) 꽃다운 이름이 많은 세대까지 흐른다는 뜻. 꽃다운 이름이 후세에 길이전함. 동진 시대, 진나라와 북방 이민족들은 서로 끊임없는 마찰을 빚었다. 서기 354년, 환온은 보병과 기병 4만을 이끌고 북벌에 나서 전진을 공격했다. 환온의 세 차례.. 고사성어 2013.06.23
殷 鑑 不 遠 殷 鑑 不 遠 (은나라 은, 거울 감, 아니 불, 멀 원) 은나라의 거울은 멀지 않다. 이전의 실패를 거울로 삼는다. 은(殷)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왕(紬王)은 포학한 폭군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그러나 주왕이 처음부터 본성이 악한 사람은 아니었다. 그는 본래 지혜도 있고 용기도 뛰어난 현명.. 고사성어 2013.06.23
疑 心 暗 鬼 疑 心 暗 鬼 (의심할 의, 마음 심, 어두울 암, 귀신 귀) 의심이 생기면 있지도 않은 귀신이 나온다. 마음속에 의심이 생기기 시작하면 갖가지 무서운 망상이 일어나 불안해 진다는 뜻. 잘못된 선입견으로 판단을 그르치는 것. 어떤 사람이 가지고 있던 도끼를 잃어버렸다. 누군가가 훔쳐간 .. 고사성어 2013.06.23
二 桃 殺 三 士 二 桃 殺 三 士 (두 이, 복숭아 도, 죽일 살, 석 삼, 무사 사) 두 개의 복숭아로 세 무사를 죽이다. 교묘한 계략으로 상대를 죽이는 것을 비유. 춘추시대 제경공의 신변을 호위하는 장사(將士)가 세 명 있었다. 어느 날 노나라 임금을 초대한 만찬에서 만수금도(萬壽金桃)라는 대접만한 복숭.. 고사성어 2013.06.23
人 生 朝 露 人 生 朝 露 (사람 인, 날 생, 아침 조, 이슬 로) 인생은 아침 이슬과 같이 덧없다는 말. 전한 무제 때, 중랑장 소무(蘇武)는 포로 교환차 사절단을 이끌고 흉노의 땅에 들어갔다가 그들의 내란에 말려 잡히고 말았다. 흉노의 우두머리인 선우(單于)는 한사코 항복을 거부하는 소무를 '숫양이.. 고사성어 2013.06.23
一 脚 爲 相 一 脚 爲 相 (한 일, 다리 각, 될 위, 재상 상) 한 쪽 다리로 재상이 되었다는 뜻. 신체가 불우한 사람이 크게 출세한 것. 윤지완(尹趾完)은 파평인으로 호는 동산(東山), 시호는 충정(忠貞)으로 조선 숙종 때 사람이다. 그가 여덟 살 때 다음과 같은 시를 읊으니 듣는 사람마다 칭찬이 자자하.. 고사성어 2013.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