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1 15

壽陽曲수양곡 ·············· 馬致遠(마치원)

壽陽曲수양곡 ·············· 馬致遠(마치원) 漁燈暗(어등암)어둑한 배 불빛, 客夢回(객몽회)나그네 꿈도 깨어. 一聲聲滴人心碎(일성성적인심쇄)떨어지는 빗소리에 마음 부서진다, 孤舟五更家萬里(고주오경가만리)외로운 배는 오경을 넘고 고향은 만 리 밖인데, 是離人幾行情淚(시리인기행정루)아래 세상 그물에 걸린 온갖 새를 가엾거니,출처 :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2

한시 2025.02.01

朱鳳行 주봉행 - 杜甫(두보)

朱鳳行 주봉행 - 杜甫(두보) 君不見瀟湘之山衡山高(군불견소상지산형산고)그대는 듣지 못했는가 호남 땅 제일산 형산의 높은 봉우리, 山巓朱鳳聲嗷嗷(산전주봉성오오)산꼭대기 울리는 붉은 봉황의 울음소리를. 側身長顧求其群(측신장고구기군)몸을 기울여 길게 돌아보며 그 짝을 구하건만, 翅垂口噤心甚勞(시수구금심심로)날개는 처지고 목은 쉬어 마음이 지쳤구나. 下愍百鳥在羅網(하민백조재라망)아래 세상 그물에 걸린 온갖 새를 가엾거니, 黃雀最小猶難逃(황작최소유난도)작디작은 참새조차 벗어나기 어렵구나. 願分竹實及螻蟻(원분죽실급루의)대나무 열매를 개미에게도 나누어주고 싶다니, 盡使鴟梟相怒號(진사치효상노호)올빼미가 야단하며 성을 낸들 어떠랴.출처 :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2

한시 2025.02.01

衡岳吟형악음-魏源(위원)

衡岳吟형악음-魏源(위원) 恒山如行(항산여행)항산은 걷는 듯 하고, 岱山如坐(대산여좌)태산은 앉아 있는 듯. 華山如立(화산여립)화산은 서 있는 듯 하고, 嵩山如臥(숭산여와)숭산은 누워 있는 듯. 惟有南嶽獨如飛(유유남악독여비)오직 남악 형산만이 홀로 나는 듯하니. 朱鳥展翅垂雲大(주조전시수운대)붉은 주작이 커다란 구름 날개를 펼쳤구나.출처 :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2

한시 2025.02.01

遊長沙유장사- - 金成坤(김성곤)

遊長沙유장사- - 金成坤(김성곤) 湘江何處暫停流(상강하처잠정류)상강은 어디에서 잠시 흐름을 멈추는가, 鳥白木黃橘子洲(조백목황귤자주)흰 새 날고 노란 귤 향기로운 귤자주라네. 岳麓山中才傑盛(악록산중재걸성)악록산 서원에는 인걸들이 많았고, 賈生井裏墨香浮(가생정리묵향부)가의의 우물가에는 묵향이 서렸었지. 步庭似見嚴師譴(보정사견엄사견)뜰을 거닐면 엄한 스승의 꾸지람이 들리고, 倚樹如聞謫士愁(의수여문적사수)나무에 기대면 수심 겨운 유배객이 보이는 듯. 事事人人逐水去(사사인인축수거)일도 사람도 모두 물결 따라 가버렸느니, 江城日暮心悠悠(강성일모심유유)강 흘러가는 장사의 저물녘 마음만 유유하구나.출처 :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2

한시 2025.02.01

江南逢李龜年강남봉이구년- 杜甫(두보)

江南逢李龜年강남봉이구년- 杜甫(두보) 岐王宅裏尋常見(기왕택리심상견)기왕의 저택에서 얼마나 자주 보았던가, 崔九堂前幾度聞(최구당전기도문)최구의 집에서는 또 몇 번을 들었던가. 正是江南好風景(정시강남호풍경)지금 한창 풍경 좋은 강남 땅, 落花時節又逢君(락화시절우봉군)꽃이 지는 시절 선생을 또 만났구료.출처 : 김성곤의 중국한시기행2

한시 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