暮春題瀼西新賃草屋 (杜甫) 저무는 봄에 양서에서 새로 임대한 초옥에 적다
此邦千樹橘(차방천수귤) 이 고을에 천 그루 귤나무 있으되
不見比封君(불견비봉군) 봉군에 견줄 정도는 아닌 것.
養拙干戈際(양졸간과제) 전쟁하는 시기에 졸박함 기르고
全生麋鹿羣(전생미록군) 사슴 무리 사이에서 목숨 보존하나니
畏人江北草(외인강북초) 사람 두려워 강북 풀숲에서 살고
旅食瀼西雲(려식양서운) 떠돌며 먹느라 양서 땅 구름을 짝하네.
萬里巴渝曲(만리파유곡) 만리 밖 파주와 유주의 악곡을
三年實飽聞(삼년실포문) 3년 동안 실로 실컷 들었네.
※767년 3월 기주의 적갑으로부터 양서로 옮겨왔을 때
초옥의 벽에다 적은 작품이다.
특히 이 작품에는 양서로 옮겨온 이유가 적혀 있기 때문에
두보의 생활상을 고찰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5수의 연작시 가운데 제2수이다.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秋野 (杜甫) 가을 들판 (0) | 2023.09.21 |
---|---|
晨雨 (杜甫) 새벽비 (0) | 2023.09.21 |
孤雁 (杜甫) 외로운 기러기 (0) | 2023.09.20 |
晴 (杜甫) 비가 개다 (0) | 2023.09.20 |
南楚 (杜甫) 초의 남쪽 (0) | 202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