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7 8

答鍾弱翁 답종약옹-牧童(목동)

答鍾弱翁 답종약옹-牧童(목동)종약옹에 답하다 草鋪橫野六七里(초포횡야육칠리)가로지른 들에 풀은 예닐곱 리 펼쳐져 있고, 笛弄晩風三四聲(적롱만풍삼사성)저녁 바람에 피리 서너 곡조 부네. 歸來飽飯黃昏後(귀래포반황혼후)황혼 후 돌아와 배불리 먹고, 不脫簑衣臥月明(불탈사의와월명)도롱이도 벗지 않은 채 밝은 달 아래 눕는다네.[출처] 千家詩(천가시)사방득.왕상엮음

한시 2025.02.07

雪梅 설매- 盧梅坡(노매파)

雪梅 설매- 盧梅坡(노매파)눈 속의 매화 其二有梅無雪不精神(유매무설부정신)매화가 있되 눈이 없으면 운치가 없으며, 有雪無詩俗了人(유설무시속료인)눈이 있되 시가 없으면 속된 사람이라네. 日暮詩成天又雪(일모시성천우설)날 저물어 시가 완성되자 하늘에서 또한 눈이 내리니, 與梅幷作十分春(여매병작십분춘)매화와 더불어 완연한 봄이 되었구나.[출처] 千家詩(천가시)사방득.왕상엮음

한시 2025.02.07

雪梅 설매- 盧梅坡(노매파)

雪梅 설매- 盧梅坡(노매파)눈 속의 매화 梅雪爭春未肯降(매설쟁춘미긍항)매화와 눈이 봄을 다투며 서로 지려 하지 않으니, 騷人閣筆費評章(소인각필비평장)시인들은 붓을 멈추고 이들을 평하느라 썼네. 梅須遜雪三分白(매수손설삼분백),매화가 분명 하얗기로는 눈의 삼분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雪卻輸梅一段香(설각수매일단향)눈은 오히려 매화보다 한 단의 향기가 부족한 것을.[출처] 千家詩(천가시)사방득.왕상엮음

한시 2025.02.07

早春 조춘- 白玉蟾(백옥섬)

早春 조춘- 白玉蟾(백옥섬)이른봄 南枝纔放兩三花(남지재방량삼화)남쪽 가지에 비로소 두세 송이 꽃이 피니, 雪裏吟香弄粉些(설리음향롱분사)눈 속에서 향기 읊으며 분가루들을 희롱하네. 淡淡著烟濃著月(담담착연롱착월)꽃은 옅은 안개에 싸여 짙은 달빛 머금고 있으며, 深深籠水淺籠沙(심심롱수천롱사)꽃 그림자는 물에 짙게 덮이고 모래에 옅게 어리네.[출처] 千家詩(천가시)사방득.왕상엮음

한시 2025.02.07

梅 매- 王淇(왕기)

梅 매- 王淇(왕기)매화 不受塵埃半點侵(불수진애반점침)세상의 먼지는 반점 묻는 것조차 받아들이지 않고, 竹籬茅舍自甘心(죽리모사자감심)대나무 울타리 초가집에서도 마음 달가워한다네. 只因誤識林和靖(지인오식림화정)다만 임포라는 사람을 잘못 알아, 惹得詩人說到今(야득시인설도금)시인들이 지름까지 이야기하게 되었구나.[출처] 千家詩(천가시)사방득.왕상엮음

한시 2025.02.07

霜月 상월- 李商隱(이상은)

霜月 상월- 李商隱(이상은)서리 속의 달 初聞征雁已無蟬(초문정안이무선)날아오는 기러기 소리 막 들리니 매미 소리 이미 사라지고,  百尺樓臺水接天(백척루대수접천)백 척 누대에서 바라보니 물은 하늘과 이어져 있네. 青女素娥俱耐冷(청녀소아구내랭)청녀와 항아는 함께 추위를 견디며,  月中霜裏鬭嬋娟(월중상리투선연)달과 서리 속에서 아름다움을 다투고 있구나.[출처] 千家詩(천가시)사방득.왕상엮음

한시 2025.02.07

楓橋夜泊풍교야박 - 張繼(장계)

楓橋夜泊풍교야박 - 張繼(장계)풍교에서 밤에 정박하며 月落烏啼霜滿天(월낙오제상만천)달은 지고 까마귀 울고 서리는 하늘에 가득한데, 江楓漁火對愁眠(강풍어화대수면)강가 단풍과 고깃배 등불이 시름겨워 자는 이를 마주하네. 姑蘇城外寒山寺(고소성외한산사)고소성 밖 한산사, 夜半鐘聲到客船(야반종성도객선)한밤중 종소리가 나그네 배에 들려오네.[출처] 千家詩(천가시)사방득.왕상엮음

한시 2025.02.07

冬景동경 - 蘇軾(소식)

冬景동경 - 蘇軾(소식)겨울 경치 荷盡已無擎雨蓋(하진이무경우개)연운 시들어 비를 가릴 연잎은 이미 없고, 菊殘猶有傲霜枝(국잔유유오상지)국화는 시들었으나 서리에 꿋꿋한 가지는 여전히 있다네. 一年好景君須記(일년호경군수기)안 년 중 가장 좋은 경치를 그대 꼭 기억해야만 하니, 最是橙黃橘綠時(최시등황귤록시)오렌지가 노랗고 귤 푸를 때가 가장 좋다네.[출처] 千家詩(천가시)사방득.왕상엮음

한시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