嚴鄭公堦下新松 (杜甫) 엄정공댁 섬돌 아래에 새로 심은 소나무
弱質豈自負(약질기자부) 유약한 가지며 줄기 어찌 스스로 뽐낼 수 있는 것이랴!
移根方爾瞻(이근방이첨) 이곳으로 뿌리 옮기게 되었기에 비로소 너를 바라보게 된 것.
細聲侵玉帳(세성침옥장) 가느다란 소리는 막부의 옥휘장 안으로 들고
疏翠近珠簾(소취근주렴) 성긴 비취빛 잎사귀는 주렴에 가까운데.
未見紫烟集(미견자연집) 아직 자줏빛 안개 모여드는 게 보이지 않으니
虛蒙淸露霑(허몽청로점) 맑은 이슬이 적셔준 은택만 부질없이 입게 되었구나.
何當一百丈(하당일백장) 어느 때나 백길 높이로 자라
攲蓋擁高簷(기개옹고첨) 비스듬한 덮개가 되어 높다란 집을 에워싸려뇨?
※이 시는 764년 가을에 지어졌는데 당시 두보는
엄정공 곧 엄무의 막부에 있었다.
섬돌 아래 발치에 새로 심은 소나무를 자기 자신에
비유하면서 직분을 끝까지 지키며 공을 세우겠다는 뜻을 피력한 시이다.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陪李七司馬皂江上觀造竹橋卽日成往來之人免冬寒入水聊題短作簡李公 (杜甫) 촉주의 이사마가 조강에 다리를 지어 그날로 완성함에 오가는 백성들이 겨울 찬물에 들어가지 않아도 되게 해준 .. (1) | 2023.12.02 |
---|---|
入宅 (杜甫) 입택 (0) | 2023.12.02 |
東津送韋諷攝閬州錄事 (杜甫) 동진에서 낭주녹사로 부임하는 위풍섭을 전송하며 (0) | 2023.12.01 |
晩晴 (杜甫) 저물녘에 날이 개다 (0) | 2023.12.01 |
送張參軍赴蜀州因呈楊侍御 (杜甫) 촉주로 부임하는 장참군을 전송하고 이로 인하여 양시어에게 드리다 (0) | 2023.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