望岳망악 - 杜甫
岱宗夫如何(대종부여하)
태산은 대저 어떠한가,
齊魯靑未了(제노청미료)
제와 노에 걸쳐 푸름이 끝이 없구나.
造化鍾神秀(조화종신수)
조물주는 신령하고 수려한 봉우리를 모았고,
陰陽割昏曉(음양할혼효)
산의 남북은 어둠과 새벽을 갈랐다.
盪胸生層雲(탕흉생층운)
씻긴 가슴에 높은 구름 피어오르고,
決眥入歸鳥(결자입귀조)
터질 듯한 눈자위로 돌아가는 새들 들어온다.
會當凌絶頂(회당능절정)
언젠가 저 산꼭대기에 올라,
一覽衆山小(일람중산소)
자그마한 산봉우리들을 한번 굽어보리라.
출처:김성곤의 한시기행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觀書有感관서유감 - 朱熹(주희) (0) | 2025.01.28 |
---|---|
檻泉亭함천정- 蘇轍(소철) (0) | 2025.01.28 |
南陵別兒童入京(남릉별아동입경)-李白 (0) | 2025.01.28 |
行路難三首之一(행로난삼수지일)-李白 (0) | 2025.01.28 |
題太行山石壁제태항산석벽--무명시인 (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