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官定後戱贈 (杜甫) 관직이 정해진 뒤 장난삼아 주다

노년의 인생 2023. 10. 5. 14:05

官定後戱贈 (杜甫) 관직이 정해진 뒤 장난삼아 주다

 

不作河西尉(부작하서위) 하서위를 맡지 않은 것은

凄涼爲折腰(처량위절요) 처량하게 허리를 굽혀야 하기 때문이지.

老夫怕趨走(로부파추주) 늙은이 분주히 뛰어다니는 것 두렵거니와

率府且逍遙(솔부차소요) 솔부리 그런 대로 한가로우리.

 

眈酒須微祿(탐주수미록) 술을 즐기려면 적은 봉록이나마 필요하여

狂歌托聖朝(광가탁성조) 어지러운 노랫소리 성스런 조대에 부치니.

故山歸興盡(고산귀흥진) 고향 산천에 돌아갈 흥취 다하고

回首向風颷(회수향풍표) 고개 돌려 돌개바람 바라본다.

 

※755년 제수받은 하서위의 관직을 사양하고 우위솔부병조의 관직을

택하면서 그것을 택하게 된 이유와 그때의 자신의 심정을 나타낸 작품이다.

원주에는 ‘당시에 하서위를 그만두고 우위솔부병조가 되었다’라고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