遣懷 (杜甫) 회포를 달래다
愁眼看霜露(수안간상로) 근심 어린 눈으로 서리와 이슬 보노라니
寒城菊自花(한성국자화) 추운 성에 국화는 제 스스로 꽃 피웠네.
天風隨斷柳(천풍수단류) 하늘 바람 따라 부러진 버들은 움직이고
客淚墮淸笳(객루타청가) 나그네 눈물은 맑은 갈잎피리에 떨어지는데.
水靜樓陰直(수정루음직) 물 고요하여 누대 그늘 곧고
山昏塞日斜(산혼새일사) 변방의 햇살 기울어 산은 어두워라.
夜來歸鳥盡(야래귀조진) 밤이 와 새들 다 돌라갔건만
啼殺後棲鴉(제살후서아) 나중에 깃든 까마귀 지독히도 우는구나.
※759년 가을 진주에서 지은 작품이다.
처량한 가을 경치를 읊으면서 정처 없이 객지에서
떠도는 신세를 한탄하고 있다.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遣意 (杜甫) 마음을 달래며 (0) | 2023.10.13 |
---|---|
爲農 (杜甫) 농사를 짓다 (0) | 2023.10.13 |
秦州雜詩 (杜甫) 진주잡시 (1) | 2023.10.13 |
秦州雜詩 (杜甫) 진주잡시 (1) | 2023.10.13 |
陪鄭廣文遊何將軍山林 (杜甫) 정광문을 모시고 하장군의 산림에서 노닐다 (0) | 2023.10.13 |